"1400원 돌파도 시간문제"…고삐 풀린 환율 [issue:tracker]
2022. 8. 23. 08:01ㆍ[§ Issue:Tracker]/¶Economics 경제
반응형
'미' 공격적 긴축 전망에 '달러 초강세'
Fed, 기준금리 0.75%P 추가 인상 가능성 커져
위안화 약세 겹쳐…수입물가 올라 인플레 압박
원·달러 환율이 22일 장중 1340원을 넘었다. 종가 기준으로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4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이 긴축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는 데다 중국과 유럽의 경기 둔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달러 초강세’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원90전 오른 1339원80전에 마감했다. 지난달 15일 기록한 연고점(1326원10전)을 한 달여 만에 갈아치웠다.
원·달러 환율은 오전 9시 개장하자마자 1330원을 넘어 1335원50전에 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오름세를 지속하다 오후 1시51분께 1340원마저 넘어섰다.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40원을 돌파한 것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29일(고가 기준 1357원50전) 후 처음이다. 장 마감 전 외환당국의 개입으로 추정되는 물량이 나오면서 1340원 턱밑에서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이 종가 기준으로 1330원을 넘은 것 역시 2009년 4월 29일 후 처음이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원90전 오른 1339원80전에 마감했다. 지난달 15일 기록한 연고점(1326원10전)을 한 달여 만에 갈아치웠다.
원·달러 환율이 폭등한 것은 미국 중앙은행(Fed)의 공격적인 통화 긴축 의지가 재차 확인됐기 때문이다. 지난 주말 Fed 인사들의 매파(통화 긴축 선호) 발언이 이어지면서 미국의 추가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커졌다.
오후에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연 3.70%에서 3.65%로 0.05%포인트 인하했다. 이에 따라 위안화가 약세를 보이자 원화의 추가 약세(환율 상승)로 이어졌다. 독일의 7월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기 대비 37.2% 오르는 등 유럽의 물가 충격으로 인해 달러 가치가 치솟는 것도 원·달러 환율 상승을 부추겼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1350원을 넘어서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미국이 금리 인상을 멈추지 않는 이상 환율 상승을 되돌릴 만한 요인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美·中·EU 겹악재에 고삐 풀린 환율…환율 13.9원 오른 1339.8원
대외경기 악화에 수출효과 제한적…고환율 지속 땐 수입물가 더 자극
대외경기 악화에 수출효과 제한적…고환율 지속 땐 수입물가 더 자극
美, 또 ‘자이언트스텝’ 가능성
지난 주말 사이 Fed 인사들이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메시지를 잇달아 내놓은 영향이 컸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는 지난 19일 “0.75%포인트 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을 2% 목표로 되돌리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도 내년까지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여기에 중국 인민은행이 이날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내리면서 위안화가 약세를 보인 것도 원화 가치가 떨어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 통상 원화는 위안화 흐름에 연동된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중국의 금리 인하가 경기 부양보다 경착륙을 막기 위한 성격이 강해 보인다”며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대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원화 약세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영국과 독일의 ‘물가 쇼크’ 역시 달러 강세를 부추기고 있다. 앞서 영국의 소비자 물가가 전년 같은달 대비 10.1% 오른 데다 독일의 7월 생산자물가는 37.2%로 폭등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유로화 가치는 독일의 7월 생산자물가 쇼크와 더불어 가뭄 및 천연가스 가격 상승세 지속 등으로 급락했다”며 “유로화 약세가 달러 초강세의 빌미가 되고 있다”고 했다.
“환율 오름세 지속”…1400원 넘봐
여기에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중국 경제의 경착륙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다. 유럽 역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장기화하는 데다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로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한국은 환율 상승에 따른 수출 확대 효과도 누리지 못하고 있다. 이달 들어 20일까지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무역적자는 102억달러로 크게 늘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원화 가치가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수출은 그만큼 늘지 않고 있다”며 “대외 경기가 악화하면서 무역수지가 회복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의 급상승으로 수입 물가는 더욱 자극될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둔 한국은행의 고심도 깊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문홍철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한국의 수출이 더욱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부동산발(發) 중국의 경기 둔화, 유로존의 분열 등 극단적인 상황까지 염두에 두면 원·달러 환율이 1400원까지 넘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응형